회고/2022년

2022. 03.17 퇴사를 하다.

Zayson 2022. 4. 28. 00:44

1년간의 회사생활

2021.02.22 - 2022.03.17까지 약 1년간의 첫 직장생활을 하고 퇴사를 했다.

입사 당시를 돌아보면, 점점 더 심해지는 코로나와 그로 인해 얼어붙어 가는 취업시장 상황을 취직한 지인들을 통해 들으면서 도전보다는 안주하자라는 마음이 강했던 것 같다.

2번째 회사 지원만에 운 좋게도 최종 합격까지 이뤄냈고, 신입 기준 초봉이 나름대로 괜찮다고 생각해 관심 없는 분야임에도 자바 백엔드 개발을 담당할 예정이라는 말에 입사를 결심하게 되었다.

 

하지만, 최종 면접과 신입 사원 OT까지만 해도 자바 백엔드 개발을 담당할 거라는 말과는 다르게 회사는 나를 C를 사용하는 생명보험 ITO부서로 나를 배정했다.

대학교 1학년 학부 시절 이후로 C를 사용해 본적이 없던 나는 많이 당황했었다.

이후, 회사에서 C를 자바로 바꾸는 차세대 프로젝트에 나를 투입시킬 예정이라는 말에 C를 이용해 비즈니스 로직을 개발하며, 업무 프로세스를 익히는 데 집중했다.

 

회사의 상황은 역시 한순간에 변한다.

여러가지 이유로 회사의 차세대 프로젝트 일정이 계속해서 미뤄졌고, 이는 나의 미래 커리어에 대한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금융 마이데이터 사업 프로젝트

그렇게 이직을 결심함과 동시에 나에게 입사 후 가장 큰 프로젝트인 “금융 마이데이터 사업 프로젝트”가 배정되었다.

그 중 고객의 주계약 및 특약의 보장내역 조회 모듈을 사업자에게 Open API 형식으로 제공하는 것이 내가 담당한 개발 파트였다.

보험 업권의 업무 프로세스와 비즈니스 로직을 완벽하게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투입된 프로젝트이기에 많은 불안감이 심했다.

 

특히, 큰 프로젝트에 신입사원이 나 혼자만 투입되었다는 점이 나를 더 불안하게 했던 것 같다.

하지만 이러한 불안감은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도 증가와 협업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들을 많이 배울 수 있는 또 다른 계기가 되었다.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크게 배웠다고 생각하는 부분이다.

 

대외계 파트 과장님, 계약 파트 담당 현업, 기간계 개발로 이뤄진 개발 파트는 내가 신입임에도 불구하고 나의 의견을 열심히 들어주셨다.

이러한 편안한 분위기 덕분에 나도 열심히 개발 파트의 입장을 대변하면서 원활하게 일정을 조율하고, 개발 프로세스를 확립할 수 있었다.

특히, 개발을 진행하면서 발생한 비즈니스 적인 이슈는 현업과의 메일 및 회의를 통해 직접적으로 피드백을 받았고 반대로 현업 파트에서 비즈니스 로직이 변경되었을 때는 개발 프로세스가 명확히 확립된 덕분에 어렵지 않게 수정 개발이 가능했다.

 

신입이라는 부담감이 더 많이 물어보고, 더 많이 소통하게 된 계기가 되었고, 이는 분석/설계 시 확립한 일정보다 이르게 개발 및 테스트가 마무리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렇게 나의 첫 프로젝트는 성공적으로 오픈했고 퇴사 직전까지도 별다른 이슈 없이 운영이 가능했다.

 

첫 직장의 마무리

신입 입장에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큰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행운을 누렸고, 주어진 기회를 놓치지 않고 내가 배울 수 있었던 부분들을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었다.

하지만, 성공적으로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고 업무적으로도 성장을 이뤄냈지만 마음 한 편에서는 계속해서 “자바 백엔드 개발에 대한 고픔”이 커졌다.

그렇게 가족 및 주변 개발자 지인들에게 조언을 구했고 이후 결론은 모두 한 가지였다.

 

“내가 앞으로도 선택할 직업이자 나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이다.”

“그렇다면 즐기면서 해야 나의 인생이 행복하지 않을 것인가?”

나의 행복한 미래를 그리기 위해 내가 좋아하는 개발을 다시 공부하고, 이번에는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도전해보자.”

 

그렇게 퇴사를 결심하고 나의 1년간의 첫 회사생활을 마무리 지었다.

비록, 내가 원하지 않는 기술 스택을 가진 업무를 경험했지만 그러한 환경 속에서도 내가 원활하게 비즈니스 로직을 개발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되었고, 개발 외적으로도 색다르고 긍정적인 경험을 많이 해서 앞으로의 나의 미래가 더욱 궁금해진다.

 

나의 행복한 미래를 그리기 위해, 더욱 열심히 달려봐야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