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NF

정규화 이론(두번째) - 결합 종속성 (DB 스터디 3주차)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실전 입문 - 오쿠노 마키아"를 읽으며 매주 스터디 진행 4.1 결합 종속성 (JD) BCNF를 통해 후보키, 키가 아닌 속성의 함수종속성을 제거했지만, 중복을 모두 제거한 것은 아니다. ☁️ 결합 종속성 (Join Dependency, JD) → 키 자체에 다중성이 포함됐을 때 나타나는 중복 [정의] A, B, … C를 릴레이션 R의 제목의 부분집합이라고 할 때 A,B,C의 프로젝션에 대응하는 릴레이션을 결합한 결과 = 릴레이션 R 이면 “결합 종속성”이다. [표현식] ☆{A, B, …, C} A, B, C의 제목 중 하나가 R의 제목 전체와 같은 경우 “결합 종속성이 명백하다.” 릴레이션 내에 명백하지 않은 결합 종속성이 존재하면 4NF ~ 6NF의 대상이다. 결합 종속성은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