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
![[백기선님과 함께하는 Live Study] 3주차) 연산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Iz4Ip%2FbtrAG6Me8Fh%2FIKFyhQjYEZk5iGiZn35xF0%2Fimg.png)
[백기선님과 함께하는 Live Study] 3주차) 연산자
목표 자바가 제공하는 다양한 연산자를 학습하세요. 학습할 것 산술 연산자 비트 연산자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 instanceof assignment(=) operator 화살표(->) 연산자 3항 연산자 연산자 우선순위 (optional) Java 13. switch 연산자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수학적인 계산에 사용되는 연산자를 말한다. 기본적으로 아는 +, -, *, /, %(사칙 연산자)가 산술 연산자이다. + 연산자는 숫자 값은 더해주는 연산자이고, 문자열의 경우 두 개의 문자열을 이어 새로운 문자열을 만들어준다. int a = 10; int b = 15; int c = a + b; // 25 String s1 = "abc"; String s2 = "def"; String s3 = s1 + ..
![[백기선님과 함께하는 Live Study] 2주차) 자바 데이터 타입, 변수 그리고 배열](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tvnXV%2FbtrALV3pSZv%2FS38ziAEEulkjvFCbHNe2S0%2Fimg.png)
[백기선님과 함께하는 Live Study] 2주차) 자바 데이터 타입, 변수 그리고 배열
프리미티브 타입 종류와 값의 범위 그리고 기본 값 Java에서 프리미티브 타입(Primitive Type) 이란 Java에서 제공하는 기본 변수 타입을 말한다. 여기서 타입이란, 컴퓨터가 해당 데이터를 어떻게 식별할지 알려주는 분류기준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프리미티브 타입은 정수 타입을 나타내는 byte, short, int, long과 실수 타입을 나타내는 float, double, 그리고 문자 타입을 나타내는 char과 참/거짓을 구분해주는 논리 타입인 boolean, 8개로 구성되어있다. 정수형 타입은 모두 기본값을 0으로 가지고 long 타입의 경우 0L로 가진다. 실수형 타입들인 float 타입은 0.0f, double 타입은 0.0을 기본 값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문자형 타입인 char 타입..
![[백기선님과 함께하는 Live Study] 1주차) JVM은 무엇이며 자바 코드는 어떻게 실행하는 것인가.](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N4Fry%2FbtrAKiR27N8%2Fi5v2N24kAm3D60nkyqd1tK%2Fimg.png)
[백기선님과 함께하는 Live Study] 1주차) JVM은 무엇이며 자바 코드는 어떻게 실행하는 것인가.
목표 자바 소스 파일(.java)을 JVM으로 실행하는 과정 이해하기. 학습과정 JVM이란 무엇인가 JVM 구성 요소 컴파일 하는 방법 실행하는 방법 바이트코드란 무엇인가 JIT 컴파일러란 무엇이며 어떻게 동작하는지 JDK와 JRE의 차이 JVM이란 무엇인가? JVM은 Java Vertual Machine의 줄임말이며, Java 바이트코드(*.class 파일)를 운영체제나 CPU등에 종속적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주체이다. 즉, Java 파일만 있다면 어떤 환경에서도 JVM 위에서 해당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메모리를 직접 관리해 메모리를 최적화 시킨다. JVM의 구성요소 JVM은 크게 Class loader, Runtime Data Areas, Excution Engin..

Spring Cloud Config Server를 Private Repository와 연동
Spring Cloud Config Server와 GitHub 레포지토리를 연동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Private 레포지토리는 SSH 키 등록 및 등록 과정에서 이슈가 있어서 해결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Private 레포지토리를 연동하는 방법은 SSH 키 등록 및 GitHub 계정 자체를 연동하는 방법이 있다. 📌 GitHub 계정 자체를 연동하기 Spring Cloud Config Server의 application.yml 파일에 GitHub 계정 아이디 및 계정 패스워드를 작성한다. server: port: 8088 # Spring Cloud Config Server 포트 spring: application: name: config-server cloud: config: server: git: u..

Spring Cloud Config Server/Client 설정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다양한 서비스의 프로젝트 환경 설정 정보를 Spring Cloud Config Server와 GitHub Repository를 이용해 중앙에서 관리하면 클라이언트의 환경설정 정보를 따로 수정할 필요 없이 한 번의 수정만 가능할 것 같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 Spring Cloud Config Repository 각 서비스 환경과 서비스 별 개발, 테스트, 로컬 환경을 구분해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서 GitHub Repository를 하나 생성한다. 해당 레포지토리에는 Yaml파일만 관리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각각의 환경 별 설정 파일을 구성해 업로드한다. # 로컬 환경 DB 설정 spring: datasource: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